유통시장전망

2022년 10월 한우시황 및 전망

작성일 2022-10-04 조회수 1306

소우마음 이은주연구소 이은주 소장

최근 2개월간(7/1~8/31) 한우시세는 학교급식, 군 급식, 여름철 행락객 증가, 추석 명절선물세트 및 추석 명절용 준비로 인한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도축두수 증가 및 소비자 물가상승으로 인한 소비위축의 영향으로 지난 2개월 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1) 한우 성별 평균 경락가격

(단위: /지육kg)

구 분

거세

2021(7/1~8/31)

18,776

13,190

23,303

21,376

2022(5/1~6/30)

16,490

12,198

21,959

19,378

2022(7/1~8/31)

16,184

11,540

21,818

19,234

/

98.1%

94.6%

99.4%

99.3%

/

86.2%

87.5%

93.6%

90.0%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 성별로 보면(-1 참조) 지난 2개월 대비 암소와 거세는 보합세를 보였으나, 수소는 약보합세를 보였다. 산지시세(생체 600kg)도 경락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지난 2개월 대비 암소와 수소 모두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송아지(6개월~7개월령)시세도 약보합세를 보였다.

쇠고기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최근 2개월간 도축두수는 171,337두로 지난 2개월 대비는 129.8%29.8%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일기간 대비도 130.5%30.5% 증가하였다. 경락두수 비율은 암소 63.1%, 수소 38,2%, 거세 59.8%로 전년 동일기간 대비 암소 4.5%, 수소 8.4%, 거세 2.1% 증가하였다.

한우 암소 도축율은 49.8%로 지난 2개월 대비는 0.7%로 감소하였으나, 전년 동일기간 대비는 3.3% 증가하였다. 송아지 가격 하락과 사료비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의 영향으로 한우 암소 도축율은 증가하였다.

(-2) 도축두수 

(단위: )

구 분

거세

암소

도축율

거세우

출하비율

2021(7/1~8/31)

61,035

1,304

68,956

131,295

46.5%

98.1%

2022(5/1~6/30)

66,616

901

64,473

131,990

50.5%

98.6%

2022(7/1~8/31)

85,301

1,071

84,965

171,337

49.8%

98.8%

/

128.0%

118.9%

131.8%

129.8%

 

 

/

139.8%

82.1%

123.2%

130.5%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최근 2개월간 쇠고기 수입량(검역기준)85,321톤으로 지난 2개월 대비는 103.7%3.7%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일기간 대비는 112.5%12,5% 증가하였으며 냉장육 비율은 19.3%로 지난 2개월 대비는 1.8% 감소하였으며, 전년 동일기간대비도 7.5% 감소하였다.

(-3) 쇠고기 수입량 

(단위: )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2020

34,527

28,448

33,229

39,824

34,394

33,919

35,192

35,943

39,031

33,050

32,026

39,886

2021

34,626

26,774

41,272

37,495

39,835

36,991

38,455

37,402

38,746

42,493

39,706

39,018

2022

39,218

34,349

39,926

36,355

44,669

37,606

43,249

42,072

 

 

 

 

전년대비

113.3%

128.3%

96.7%

97.0%

112.1%

101.7%

112.5%

112.5%

 

 

 

 

자료)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쇠고기 수요적인 측면을 보면, 학교급식, 군 급식, 여름철 행락객 증가, 추석 명절 선물세트 및 추석명절용 준비로 인하여 소비량은 지난 2개월 대비 증가하였다. 향후 2개월(`22101~ 1130)간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공급적인 측면은 도축두수는 최근 2개월 대비 감소하여 공급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전년 동일기간 대비는 사육두수 증가로 인하여 도축두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쇠고기 수입량은 지난 2개월 대비 유지 또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4) 한우 거세우 생후 월령별 사육두수

(단위: )

구 분

20218

20226

20227

20228

전년대비

10개월이하

436,001

425,055

437,681

449,318

103.1%

11개월~20개월

437,290

448,093

453,873

456,733

104.4%

21개월~25개월

136,635

182,696

161,280

148,570

108.7%

26개월~30개월

206,922

215,591

230,678

213,355

103.1%

31개월~

29,659

29,385

32,000

31,295

105.5%

자료) 축산물이력제

) 기준일: 매월 말일

 

쇠고기 수요적인 측면을 보면, 학교급식, 군 급식, 가을철 단풍놀이 행락객 증가, 각 지역단위 축제, 한우 소비 홍보 등에도 불구하고 도축두수 감소와 소비가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위축의 영향으로 소비량은 지난 2개월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2개월간(`22101~ 1130) 한우 거세우 경락가격은 최근 2개월 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되며, 암소(생체 600kg)와 수소(생체600kg)의 산지시세도 지난 2개월 대비 보합세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된다.

6~7개월령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가격은 공급량 증가와 사료비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의 영향으로 인한 입식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지난 2개월 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