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우마음 이은주연구소 이은주 소장
최근 2개월간(9/1~10/31) 한우시세는 학교급식, 군 급식, 가을철 단풍놀이 행락객 증가, 추석 명절 , 한우 소비 촉진 및 할인 판매행사, 각 지역단위 축제, 도축 마릿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태원 참사 발생으로 인한 애도 기간 지정, 소비자 물가상승으로 인하여 지난 2개월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표-1) 한우 성별 평균 경락가격 (단위: 원/지육kg) 구 분 | 암 | 수 | 거세 | 계 | 2021년(9/1~10/31)ⓐ | 19,567 | 14,263 | 23,199 | 21,821 | 2022년(7/1~8/31)ⓑ | 16,184 | 11,540 | 21,818 | 19,234 | 2022년(9/1~10/31)ⓒ | 16,411 | 11,608 | 21,225 | 19,282 | ⓒ/ⓑ | 101.4% | 100.6% | 97.3% | 100.2% | ⓒ/ⓐ | 83.9% | 81.4% | 91.5% | 88.4% |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 성별로 보면(표-1 참조) 지난 2개월대비 암소는 약강세, 수소는 보합세를 보였으나, 거세는 약보합세를 보였다. 산지시세(생체 600kg)는 경락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지난 2개월대비 암소는 보합세, 수소는 약강세를 보였으며, 송아지(6개월~7개월령)시세는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모두 사료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의 영향으로 인한 입식 수요 감소로 지난 2개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쇠고기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최근 2개월간 도축 마릿수는 124,557마리로 지난 2개월대비는 72.7%로 27.3% 감소하였으며, 전년 동일기간대비도 86.7%로 13.3% 감소하였다. 경락 마릿수 비율은 암소 59.2%, 수소 26.4%, 거세 61.3%로 전년 동일기간대비 암소 3.0%, 거세 0.7%, 증가하였으나, 수소는 2.9% 감소하였다. 한우 암소 도축율은 46.8%로 지난 2개월대비는 3.0%로 감소하였으나, 전년 동일기간대비는 2.8% 증가하였으며, 증가 요인은 송아지 가격 하락과 사료비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이다. (표-2) 도축 마릿수 (단위: 마리) 구 분 | 암 | 수 | 거세 | 계 | 암소도축율 | 거세우 출하비율 | 2021년(9/1~10/31)ⓐ | 63,310 | 1,670 | 78,762 | 143,742 | 44.0% | 97.9% | 2022년(7/1~8/31)ⓑ | 85,301 | 1,071 | 84,965 | 171,337 | 49.8% | 98.8% | 2022년(9/1~10/31)ⓒ | 58,296 | 881 | 65,380 | 124,557 | 46.8% | 98.7% | ⓒ/ⓑ | 68.3% | 82.3% | 76.9% | 72.7% | | | ⓒ/ⓐ | 92.1% | 52.8% | 83.0% | 86.7% | | |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최근 2개월간 쇠고기 수입량(검역기준)은 80,221톤으로 지난 2개월대비는 94.0%로 6.0% 감소 하였으며, 전년 동일기간대비도 98.7%로 1.3% 감소하였다. 냉장율 비율은 22.0%로 지난 2개월 대비는 2.7% 증가하였으나, 전년 동일기간대비는 2.3% 감소하였다. (표-3) 쇠고기 수입량 (단위: 톤) 구분 | 냉동 | 냉장 | 계 | 냉장육 | 2021년(9/1~10/31)ⓐ | 61,496 | 19,743 | 81,239 | 24.3% | 2022년(7/1~8/31)ⓑ | 68,840 | 16,481 | 85,321 | 19.3% | 2022년(9/1~10/31)ⓒ | 62,598 | 17,623 | 80,221 | 22.0% | ⓒ/ⓑ | 90.9% | 106.9% | 94.0% | 2.7% | ⓒ/ⓐ | 101.8% | 89.3% | 98.7% | -2.3% |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별 수입량 점유율은 지난 2개월대비는 칠레와 덴마크는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국가는 감소하였으며, 전년 동일기간대비는 호주, 뉴질랜드, 덴마크는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국가는 감소하였다. 부위별 수입량은 지난 2개월대비는 목심, 설도, 앞다리, 안심, 채끝은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일기간 대비는 사태, 설도, 양지, 우둔, 안심, 채끝, 기타 부위가 증가하였다. 쇠고기 수요적인 측면을 보면, 학교급식, 군 급식, 가을철 단풍놀이 행락객 증가, 추석 명절, 한우 소비촉진 및 할인 판매행사, 각 지역단위 축제, 도축두수 감소의 영향으로 소비량은 지난 2개월대비 감소하였다. 향후 2개월(`22년12월1일~`23년 1월 31일)간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공급적인 측면은 사육 마릿수 증가(표 4)로 인한 도축 마릿수 증가로 인하여 최근 2개월대비(`22년 9월 1일~10월 31일) 공급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쇠고기 수입량도 각종 연말모임 및 설 명절 수요량 증가로 인하여 최근 2개월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4) 한우 거세우 생후 월령별 사육 마릿수 (단위: 두) 구 분 | 2021년10월 | 2022년8월 | 2022년9월 | 2022년10월 | 전년대비 | 10개월이하 | 444,503 | 449,318 | 455,850 | 455,372 | 102.4% | 11개월~20개월 | 426,985 | 456,733 | 454,954 | 447,569 | 104.8% | 21개월~25개월 | 136,822 | 148,570 | 143,077 | 150,978 | 110.3% | 26개월~30개월 | 167,624 | 213,355 | 203,416 | 179,654 | 107.2% | 31개월~ | 54,305 | 31,295 | 47,379 | 64,308 | 118.4% | 자료) 축산물이력제 주) 기준일: 매월 말일 쇠고기 수요적인 측면을 보면, 고금리로 인한 이자부담 증가 및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위축 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학교급식, 군 급식, 각종 연말연시 모임, 설 명절, 한우 소비촉진 할인판매행사 등의 영향으로 소비량은 최근 2개월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2개월간(`22년12월1일~ `23년 1월31일) 한우 거세우 경락가격은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고금리로 인한 이자부담 증가 및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위축, 도축 마릿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의 영향으로 최근 2개월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되며, 암소(생체600kg)와 수소(생체600kg)의 산지시세도 최근 2개월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된다. 6~7개월령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가격은 공급량 증가와 사료비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의 영향으로 인한 입식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최근 2개월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