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시장전망

2025년 10월 한우 시황 및 전망

작성일 2025-10-01 조회수 912

소우마음 이은주 연구소 이은주 소장

최근 2개월간(`25.07.01~`25.08.31) 한우시세는 경기침체와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위축과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군 급식, 학교급식, 가족단위의 피서 행락객 증가, 한우 할인판매 행사, 유통업체 추석 명절 선물세트 준비, 민생회복 소비 쿠폰 지급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로 지난 2개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표-1) 한우 성별 평균 경락가격                                                (단위: 원/지육kg)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 성별로 보면(표-1 참조) 지난 2개월대비 암소와 거세는 약강세를 보였으나, 수소는 보합세를 보였다. 육질등급별로 보면 거세는 1등급은 강보합세를 보였으나, 그 외의 등급은 약강세를 보였다. 암소도 육질 1등급은 강보합세를 보였으나 그 외의 등급은 약강세를 보였다. 부분육 경락가격을 보면 거세는 갈비, 등심, 안심, 채끝, 특수부위, 우족은 강보합세를 보였으나, 꼬리, 목심, 설도는 보합세, 사골은 약세, 그 외의 부위는 약강세를 보였다. 암소는 꼬리, 우족은 약세를 보였으며, 등심, 채끝, 특수부위, 잡뼈는 약강세를 보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강보합세를 보였다. 송아지 6개월령~ 7개월령 시세는 한우 경락가격 상승과 번식 사육 의향 증가로 인한 송아지 입식 수요 증가로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모두 지난 2개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쇠고기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최근 2개월간 도축두수는 155,896두로 지난 2개월대비 113.2%로 13.2%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일기간대비는 82.7%로 17.3% 감소하였다. 경락두수 비율은 암소 64.3%, 수소 51.9%, 거세 64.7%로 지난 2개월대비 암소 0.7%, 거세 1.8% 증가하였으나, 수소는 2.6% 감소하였다. 한우 암소 도축율은 50.9%로 지난 2개월대비 0.2%로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일기간대비는 0.2% 감소하였다.

(표-2) 도축두수                                                                          (단위: 두)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최근 2개월간 쇠고기 수입량(검역기준)은 85,247톤으로 지난 2개월대비 93.8%로 6.2% 감소하였으나, 전년동일기간대비는 111.9%로 11.9% 증가하였다. 냉장육 비율은 20.4%로 지난 2개월대비 1.8%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일기간대비는 3.1% 감소하였다.

(표-3) 쇠고기 수입량                                                                    (단위: 톤)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별 수입량은 지난 2개월대비 미국, 뉴질랜드, 멕시코, 칠레, 네덜란드는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국가는 증가하였다. 부위별 수입량을 보면 갈비, 등심, 목심, 앞다리, 양지는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증가하였다.

쇠고기 수요적인 측면을 보면 군 급식, 학교급식, 가족단위의 피서 행락객 증가, 한우 할인판매 행사, 유통업체 추석 명절 선물세트 준비, 민생회복 소비 쿠폰 지급 등으로 인하여 수요는 증가하였다. 부위별 수요를 보면 거세는 꼬리, 사골의 수요는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증가 하였으며. 암소도 꼬리, 우족은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증가하였다.

향후 2개월(`25년10월1일~ `25년11월30일)간 한우 거세우의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지난 2개월대비 도축두수 감소로 최근 2개월 대비 공급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쇠고기 수입량도 유지 또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4) 한우 거세우 생후 월령별 사육 두수                                             (단위: 두)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 통계누리
주) 기준일: 매월 말일

쇠고기 수요적인 측면을 보면 경기침체 및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인한 수요 위축에도 불구하고 군 급식, 학교급식, 추석 명절, 가을 단풍놀이 행락객 증가, 한우 먹는 날, 한우 할인판매 행사, 민생회복 소비 쿠폰 추가 지급 등으로 인하여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2개월간(`25년10월1일~`25년11월30일) 한우 거세우 경락가격은 최근 2개월 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되나, 6~7개월령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가격은 입식 수요 증가로 최근 2개월 대비 보합세 내지 약강세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