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시장전망

2025년 8월 한우 시황 및 전망

작성일 2025-08-04 조회수 1207

소우마음 이은주 연구소 이은주 소장

최근 2개월간(`25.05.01~`25.06.30) 한우시세는 군 급식, 학교급식, 봄꽃 축제 및 가족 단위의 행락객 증가, 가정의 달 소비 특수, 한우 할인판매 행사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와 도축두수 감소로 인한 공급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와 소비자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한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지난 2개월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표-1) 한우 성별 평균 경락가격                                                      (단위: 원/지육kg)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 성별로 보면(표-1 참조) 지난 2개월대비 암소와 수소는 보합세를 보였으나, 거세는 약강세를 보였다. 
육질등급별로 보면 거세는 1+등급 이상은 약강세를 보였으나, 2등급은 보합세, 그 외의 등급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암소도 육질 1++등급은 약강세를 보였으나 그 외의 등급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부분육 경락가격을 보면 거세는 갈비, 등심, 안심, 채끝, 특수부위는 약강세를 보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약보합내지 약세를 보였다. 
암소는 갈비와 안심은 약강세를 보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보합세내지 약세를 보였다. 
송아지 6개월령~ 7개월령 시세는 한우 경락가격의 상승과 번식 사육 의향 증가의 영향 으로 인한 입식 수요 증가로 인하여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모두 지난 2개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쇠고기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최근 2개월간 도축두수는 137,677두로 지난 2개월대비는 91.7%로 8.3%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일기간대비도 93.2%로 6.8% 감소하였다.
경락두수 비율은 암소 63.6%, 수소 54.5%, 거세 62.9%로 지난 2개월대비 암소 1.6%, 거세 2.3% 감소하였으나, 수소는 8.6% 증가하였다.
한우 암소 도축율은 51.1%로 지난 2개월대비 2.8%로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일기간대비는 2.3% 감소하였다. 

(표-2) 도축두수                                                                                (단위: 두)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최근 2개월간 쇠고기 수입량(검역기준)은 90,911톤으로 지난 2개월대비는 121.0%로 21.0% 증가하였으며, 전년동일기간대비도 127.1%로 27.1% 증가하였다. 
냉장육 비율은 18.6%로 지난 2개월대비 2.8%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일기간대비도 2.1% 감소하였다.

(표-3) 쇠고기 수입량                                                                          (단위: 톤)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별 수입량은 지난 2개월대비 미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네덜란드는 증가 하였으나, 그 외의 국가는 감소하였다.
부위별 수입량을 보면 갈비, 등심, 목심, 사태, 설도, 안심, 앞다리, 양지, 우둔, 기타는 증가하였으나, 채끝은 감소하였다.

쇠고기 수요적인 측면을 보면 군 급식, 학교급식, 봄꽃 축제 및 가족단위의 행락객 증가, 가정의 달 소비 특수, 한우 할인판매 행사 등으로 인한 수요는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와 소비자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하여 수요는 감소하였다.
부위별 수요를 보면 거세는 갈비, 등심, 안심, 채끝, 특수 부위는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감소하였으며, 암소는 갈비와 안심은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부위는 감소하였다.

향후 2개월(`25년8월1일~ `25년09월30일)간 한우 거세우의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지난 2개월대비 도축두수 증가로 최근 2개월 대비 공급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쇠고기 수입량은 유지 또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4) 한우 거세우 생후 월령별 사육 두수                                                   (단위: 두)


자료) 축산물이력제
주) 기준일: 매월 말일

쇠고기 수요적인 측면을 보면 경기침체 및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인한 수요 위축에도 불구하고, 군 급식, 가족 단위의 피서 여행객 증가, 유통업체 추석 선물 세트 준비, 휴가철 맞이 한우 할인판매 행사,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등으로 인하여 지난 2개월대비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2개월간(`25년8월1일~`25년9월30일) 한우 거세우 경락가격은 최근 2개월 대비 보합세 내지 약강세가 예상되며, 6~7개월령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가격도 공급량 감소의 영향으로 최근 2개월 대비 보합세내지 약강세가 예상된다.